- select
- sql
- join
- spring
- 데이터베이스
- @transactional
- jpa
- static
- 자바
- ORM
- spring mvc
- 스프링
- springboot
- 프로그래머스
- string
- Django
- DI
- 스프링부트
- 1차원 배열
- AWS
- PYTHON
- spring security 6
- Docker
- mysql
- java
- hibernate
- nginx
- spring boot
- SSL
- 문자열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목록java (39)
개발하는 자몽
문제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double sum = 0; double avg = 0; int outer = Integer.parseInt(br.readLine(..
문제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int total = 0; int temp = 0;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ring quiz[] = new String[Integer.parseInt(br.readLine())]; for(int i=0; i
문제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double arr[] = new double[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 new St..
문제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oolean[] arr = new boolean[42];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for(int i=0; i
문제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ream.Stream;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a, b, c;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a = sc.nextInt(); b = sc.nextInt(); c = sc.nextInt(); int res = a*b*c; int arr_res[] = Stream.of(String.valueOf(res).split("")).mapToInt(Integer::parseInt).toArray(); int cnt[] = new int[10]; for(int i=0; i
문제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arr[] = new int[9];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for(int i=0; i
문제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n = sc.nextInt(); int arr[] = new int[n]; for(int i=0; i
이 글과 관련하여 새로운 글을 작성했다. 도메인형과 계층형 패키지 구조가 무엇인지 알았다면 이 글도 읽어보자. [Spring] 패키지 구조 설계 이전에 패키지 구조에 관한 글을 쓴 적이 있다. [Spring Boot] 패키지 구조 여러 글을 찾아봤는데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패키지 구조를 구성한다. 도메인형 패키지 구조 계층형 패키지 구조 개발의 backend-jaamong.tistory.com 여러 글을 찾아봤는데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패키지 구조를 구성한다. 도메인형 패키지 구조 계층형 패키지 구조 개발의 규모나 성격, 회사에서 진행하는 방식에 따라 정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두 방식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자.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개발, 회사마다 다르므로 내가 정리한게 맞다는 보장은 없다.) 도..
C++, Java를 이용해서 코딩을 하지만 객체지향프로그래밍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 같아서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추상화 "해결해야할 문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단순하게 만드는 행위" 소프트웨어 설계 = 복잡한 현실 문제를 간단하게(추상화)하는 과정 부품화 로직과 관련된 변수, 메소드 = 객체 -> 다른 곳에도 활용 가능(재활용성 up) 다른 곳에도 활용 가능하다는 것은 "부품"으로써 사용된다는 의미 "메소드"는 프로그램 안에서 중복되게 사용되는 것을 별도로 분리해서 로직으로 만든 것 --> 객체지향으로 이어짐 => 메소드 사용 ~ 코드 양 감소, 코드 찾기 쉬워짐, 문제 진단 속도 증가 은닉화, 캡슐화 제대로된 부품이라면 해당 부품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모르는 사람도 사용 방법만 알면 쓸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