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ring
- join
- 1차원 배열
- hibernate
- Django
- mysql
- 자바
- PYTHON
- jpa
- ORM
- static
- spring security 6
- 데이터베이스
- DI
- AWS
- SSL
- select
- spring mvc
- sql
- 프로그래머스
- 스프링
- 스프링부트
- string
- springboot
- @transactional
- spring boot
- Docker
- java
- 문자열
- ngin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목록분류 전체보기 (195)
개발하는 자몽

꽤... 늦었는데, 지난번에 구축한 CI/CD에 블루-그린 무중단 배포를 적용해 보자.📌지난 글: 2025.07.28 - [Architecture & Tool/AWS] - CI/CD 구축하기: GitHub Actions (OIDC) + Amazon S3 + Amazon CodeDeploy 보안 그룹ALB 보안 그룹 생성ALB를 생성하기 전에 보안 그룹을 만들자. EC2 > 보안 그룹으로 이동하여 보안 그룹 생성을 클릭한다.아웃바운드 규칙은 건들지 않고 인바운드 규칙만 편집한다. 유형: HTTP소스 유형: 사용자 지정소스: 0.0.0.0/0EC2 보안 그룹 수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ALB를 통해서만 받을 수 있도록 이전 포스트에서 생성했던 EC2 보안그룹을 수정해야 한다. 이전 포스트에서 두 개..

📌공유도 있지만, 기록이 더 큰 목적... Windows 11, Gradle/SpringBoot.AWS에서 "아.. Fargate 좋은데... 안쓰나... 진짜 좋은데..." 라고 계속 홍보하는 것 같아서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도대체 얼마나 좋길래? 하고 사용해봤다. 후기! EC2 보다 비용이 좀(꽤) 나가지만, 편리하다. 서버 설정 자체는 신경을 안쓰게 되긴하는데 인프라는 건들게 너무... 많다... 자세히는, 퍼블릭 서브넷에 배포한다면 정말 금방 끝낼 수 있다. 하지만 프라이빗 서브넷에 배포한다면... 좀... 귀찮아진다... (새삼 Render가 진짜 배포하기 쉽다...)배포하는 과정에서 Private Link 관련으로 삽집을 많이해서 기록용으로 남겨둔다. 사전 준비Docker 계정AWS CLI..

AWS EC2 인스턴스(Ubuntu 24.04) 한 대에 배포되고 있는 Gradle/SpringBoot 서버에 대해서 OIDC를 이용해서 CI/CD를 구축해 보는 글입니다. EC2 인스턴스 생성은 다루지 않습니다. ⏭️다음 글: CI/CD에 블루-그린 무중단 배포 적용하기: AWS ELB, AWS Auto Scaling Groups(ASG) ⭐항상 AWS 리소스를 다룰 땐 참고하고 있는 글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기⭐ 작성 계기GitHub Actions를 CI 툴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소개글은 GitHub Actions에서 AWS로 접근하기 위해 IAM 액세스 키를 많이 사용한다. 이때 여러 가지를 고려했을 때 IAM 액세스 키보다는 OpenID Connect(OIDC) 사용을 더 권장한다고 한다...
SQLite를 로컬 DB로 사용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잊을만하면 마주치는 에러가 있어서 정리한다. 프로젝트에서는 Hibernate 버전 6을 사용하고 있다. 상황로그인 API 이후 사용자 정보 수정 API를 시도했을 때 아래와 같은 예외가 발생했다. org.sqlite.SQLiteException: [SQLITE_BUSY] The database file is locked (database is locked) `application.yml`에서 `datasource` 설정은 아래와 같다. spring.datasource: url: jdbc:sqlite:project.db?busy_timeout=5000 driver-class-name: org.sqlite.JDBC 추가적으로 알아야 할 정..
Notice 이 글은 개인적으로 읽기 편하라고 개인 노션에 막 정리한 글을 공유한 것입니다. 스스로가 정리한 것을 까먹지 않기 위함... 배경 Hexagonal Architecture인지 포트 어댑터 패턴인지... 여러 개념들이 등장해서 어딘가 적어두면서 생각하지 않으면 이해하기가 너무 어렵다.그래서 라인에서 작성한 글을 메인으로 잡고 잘 모르는 개념을 검색하며 노션에 막! 정리했다. https://www.notion.so/Hexagonal-Port-Adapter-22ee4ff26d86807497cbe5ddd763765d?source=copy_link 후기살짝 프로젝트 적용해 보면서 느낀 점은 우선... 다 좋은데 코드 작성량이 정말 많이 많아진다. 필요한 무언가가 있으면 이걸 위해서 작성해야 하는 코드..

스프링 시큐리티는 `@AuthenticationPrincipal` 애노테이션을 제공한다. 이는 `Authenticaiton.getPrincipal()`를 메서드 인자로 가져오는 데 사용되며, 보통은 `UserDetails` 타입이나 해당 타입의 커스텀 구현체로 가져오게 된다. `Authentication.getPrincipal()`에는 username, password(AuthenticationManager 구현에 따라 없을 수 있음), role과 같은 사용자 정보가 담겨있다. 간단하게 해당 애노테이션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공식문서에서도 안내하고 있다. 실제로 구현해 보자. 여기서는 커스텀 애노테이션 이름을 `@CurrentUser`로 설정했다.import ..

📌 Spring Security 6.5.0 기준 작성 로그인을 구현할 때 보통 JWT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세션 기반으로 구현했다. 일단... JWT를 사용하여 로그인과 로그아웃을 구현하면 신경 쓸 것이 꽤 많다. 특히 로그아웃이 복잡한 것 같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액세스 토큰(Access Token) 및 액세스 토큰 재발급을 위한 리프레시 토큰(Refresh Token) 생성요청 시 사용된 토큰이 유효한지 검증(만료, 변조 여부 등)로그아웃을 해도 액세스 토큰의 만료기간이 남아있다면 재사용 가능 → 이를 막기 위해 로그아웃 시 해당 액세스 토큰을 블랙리스트(저장소)에 저장 블랙리스트 저장소에 대한 액세스 속도를 높이기 위해 보통 Redis와 같은 인메모리 DB를 사용한다.한 번은 블랙..
평소에 SQLite는 테스트용으로만 사용하고 실제로는 잘 사용하지 않는데, 설치가 불필요한 로컬 RDB가 요구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어 SQLite를 사용하기로 했다. 타입 종류SQLite는 대표적인 RDBMS인 MySQL이나 PostgreSQL 등과 달리 데이터 타입이 매우 적다. 다음은 SQLite에서 제공하는 storage class이다. TEXT : 데이터베이스 인코딩(UTF-8, UTF-16BE or UTF-16LE)을 사용하여 저장된 텍스트 문자열INTEGER : 값 크기에 따라 0, 1, 2, 3, 4, 6, 8 바이트로 저장되는 정수(signed integer)REAL : 8 바이트 IEEE 부동 소수점 숫자로 저장되는 부동 소수점 값BLOB : 입력 그대로 저장되는 데이터 NULL :..

근래 FastAPI + PostgreSQL 조합으로 백엔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프론트엔드에서 API를 가져다 쓰려면 배포를 해야 하므로 처음에는 AWS의 EC2나 Lambda, Elastic Beanstalk을 고려했다. (고려하면서 좀 찾아봤는데 셋 다 목적이 달라서 어쩌다 보니 공부하게 된건 덤) 백엔드 개발 규모가 그리 크지 않아서 AWS를 사용하는 건 부담스럽게 느껴졌다. 그렇게 다른 플랫폼을 찾다 보니 Render를 선택했다. 사실 전에 Java(SpringBoot)도 가능하다는 말을 어디선가 봐서 도전했다가 안 좋은 감정만 남았던 기억이 있는데, 사용 후기가 꽤 있는 Python은 뭔가 다를지도 몰라! 하는 기대감으로 도전했다. Render는 여타 다른 클라우드 플랫폼이 그렇듯 여러 플랜과..

보통 백엔드 개발 시 주로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는데, 파이썬을 사용하는 AI 엔지니어와 협업할 때 호환성이 좋지 않았다. 그래서 AI 엔지니어와 협업할 때만 사용할, 스프링 부트를 대체할 파이썬 기반 백엔드 프레임워크 사용을 계속 고민해 왔다.인증이나 주된 기능은 스프링 부트로 처리하되 AI 프로그램에서 넘어오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API로 전달하는 용도로 쓰고자 했다. 따라서 비교적 무거운 Django를 제외하고 Flask와 FastAPI 중에서 고민했다. 이전에 사용해 본 Flask는 Java로 백엔드 개발하는 것과 비슷한 부분이 있어서 끌렸는데, FastAPI는 Flask와 동일하게 API나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등에 적합하며 API 문서 자동화를 지원한다고 한다! API 문서 자동화 지원은 사용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