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Link
Tags
- java
- spring boot
- nginx
- 1차원 배열
- spring mvc
- PYTHON
- 프로그래머스
- Docker
- static
- select
- DI
- springboot
- ORM
- SSL
- 자바
- AWS
- join
- string
- 스프링
- hibernate
- 데이터베이스
- 문자열
- jpa
- Django
- 스프링부트
- @transactional
- spring
- mysql
- sql
- spring security 6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Archives
목록2025/07/05 (1)
개발하는 자몽

📌 Spring Security 6.5.0 기준 작성 로그인을 구현할 때 보통 JWT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세션 기반으로 구현했다. 일단... JWT를 사용하여 로그인과 로그아웃을 구현하면 신경 쓸 것이 꽤 많다. 특히 로그아웃이 복잡한 것 같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액세스 토큰(Access Token) 및 액세스 토큰 재발급을 위한 리프레시 토큰(Refresh Token) 생성요청 시 사용된 토큰이 유효한지 검증(만료, 변조 여부 등)로그아웃을 해도 액세스 토큰의 만료기간이 남아있다면 재사용 가능 → 이를 막기 위해 로그아웃 시 해당 액세스 토큰을 블랙리스트(저장소)에 저장 블랙리스트 저장소에 대한 액세스 속도를 높이기 위해 보통 Redis와 같은 인메모리 DB를 사용한다.한 번은 블랙..
Java & Kotlin/Spring
2025. 7. 5. 1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