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
- session
- 프로그래머스
- jpa
- spring mvc
- Django
- 데이터베이스
- 스프링
- sql
- Docker
- AWS
- springboot
- spring
- 문자열
- SSL
- nginx
- Git
- join
- PYTHON
- spring security 6
- mysql
- @transactional
- DI
- 자바
- spring boot
- 스프링부트
- ORM
- select
- 1차원 배열
- str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개발하는 자몽
스프링과 객체 지향 (1) - 자바 언어의 다형성 본문
스프링과 객체 지향의 관계를 정리해보자.
스프링과 객체 지향
스프링은 객체 지향 언어인 Java 기반의 프레임워크로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객체 지향의 특징
- 추상화
- 캡슐화
- 상속
- 다형성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객체"들의 모임으로 보는 것으로 각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렇게 객체들이 주고받고 하는 것을 "협력"한다고 하자. 또한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하기 좋게 만들기 때문에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이 사용된다.
다형성?
다형성(Polylmorphism)은 하나의 객체가 여러 타입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상을 역할과 구현으로 구분해보자. 운전자(역할)는 자동차(역할)의 종류가 어떤 것이던 간에 운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K3(구현)에서 테슬라(구현)로 차를 바꿨다고 해서 운전이 불가능하지 않다.
모든 차들은 자동차 역할(인터페이스)를 준수하여 구현되고, 운전자는 그 인터페이스를 알고 있으므로 차가 바뀌어도 운전이 가능하다. 즉, 다형성에 의해 하나의 객체(인터페이스, 자동차 역할)는 여러 구현체(K3, 아반떼, 테슬라 모델3)를 가질 수 있다.
자바 언어의 다형성 활용
이번에는 자바 언어로 역할과 구현을 분리해보자.
- 클라이언트는 역할만 알면 된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체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 구현체의 내부 구조가 변경돼도 클라이언트 코드에는 영향이 없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체를 변경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역할은 인터페이스, 구현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또는 구현 객체다. (클라이언트가 뭔지는 더 아래서)
위 와 같은 장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다음을 명심하자.
- 객체 설계 시 역할과 구현을 명확히 분리
- 객체 설계 시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체(구현 객체) 만들기
객체의 협력 관계(수정 필요)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객체들은 서로 협력한다.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하고 서버는 그에 대한 응답을 한다. → 클라이언트 객체와 서버 객체는 서로 협력 관계를 갖는다.
다형성의 본질은 객체가 서로 협력한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사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제대로 정리가 안돼서 추후에 다시 적어야 한다. ('객체지향 사실과 오해'를 꼭 읽어보고 정리할 것)
반복해서 말하고 있는데, 자바 언어의 다형성으로 우리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정말 중요하다. 이 부분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코드랑 같이 보는게 좋은데, 다른 포스팅에서 다룰 것이다.(객체가 서로 협력한다는 점이 다형성의 본질임을 잊지말자)
클라이언트인 MemberService는 인터페이스(역할)인 MemberRepository를 의존하고(아는 상태) 있고, 그 구현체인 MemoryMemberRepository 또는 JdbcMemberRepository를 의존하지 않고(모르는 상태) 할당받을 수 있다. 단지 인터페이스를 알면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는 무엇이든 받을 수 있다(협력).
역할과 구현의 분리 정리 및 한계
역할과 구현을 명확하게 분리하는 것은 프로그램의 구조를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코드에 영향을 주는 것 없이 변경이 가능하다. 하지만 역할(인터페이스) 자체가 변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에 큰 변경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프링과 객체지향
- 다형성 중요!
- 스프링은 객체지향의 다형성을 극대화하여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 스프링에서 자주 등장하는 제어의 역전(IoC), 의존관계 주입(DI)은 다형성을 활용해서 역할과 구현을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스프링을 사용하면 구현체를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은 스프링과 SOLID에 대해서 다뤄볼 예정
출처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Wrapper 클래스 (0) | 2022.07.19 |
---|---|
[객체 지향] is-a, has-a (0) | 2022.07.16 |
static, singleton pattern (0) | 2022.07.15 |
객체와 메모리 in Java (0) | 2022.07.14 |
객체지향프로그래밍(추상화, 부품화, 은닉화, 캡슐화) (0) | 202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