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SL
- spring
- spring boot
- jpa
- 자바
- select
- nginx
- PYTHON
- AWS
- spring mvc
- spring security 6
- static
- Docker
- string
- @transactional
- 프로그래머스
- java
- 스프링부트
- 문자열
- ORM
- sql
- hibernate
- DI
- 스프링
- 1차원 배열
- Django
- springboot
- mysql
- join
- 데이터베이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개발하는 자몽
스프링 부트 공부 (7),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 2 본문
지난 포스트에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고, 그중에서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방식을 다뤘다. 이번에는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을 등록"한다.
이 글은 아래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됩니다.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 인프런 | 학습 페이지
지식을 나누면 반드시 나에게 돌아옵니다. 인프런을 통해 나의 지식에 가치를 부여하세요....
www.inflearn.com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
등록 전에 이전에 MemberService와 MemoryMemberRepository에 사용한 @Service, @Repository, 생성자 위에 @Autowired를 전부 제거한다. MemberController의 @Controller와 @Autowired는 유지한다.
@Bean
method-level 어노테이션으로 Bean을 등록하고자 할 때 해당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 @Bean 어노테이션은 주로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한다.
- 개발자가 직접 제어가 불가능한 라이브러리를 활용할 때
- 초기에 설정을 하기 위해 활용할 때
@Configuration
설정파일을 만들기 위한 어노테이션 or Bean을 등록하기 위한 어노테이션이다. 해당 어노테이션은 해당 클래스에서 1개 이상의 Bean을 생성하고 있음을 명시한다. 그러므로 @Bean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클래스는 반드시 @Configuration과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Configuration 없이 @Bean만 사용해도 스프링 빈으로 등록이 된다. 대신 메서드 호출을 통해 객체를 생성할 때 싱글톤을 보장하지 못한다. 때문에 Spring 설정 정보를 위해서는 반드시 @Configuration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도 내부적으로 @Component를 가지고 있어 @Configuration이 붙은 클래스도 스프링 빈으로 등록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SpringConfig {
@Bean // 스프링 빈에 등록하라는 의미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
가장 처음에 @Service, @Repository, @Autowired를 제거했다. 제거하면 controller 생성자에서 에러가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객체가 빈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위 코드는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을 등록한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Configuration과 @Bean을 이용하여 빈을 등록한다. 위 처럼 코드를 입력하면 객체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기 때문에 생성자에서 발생하던 에러가 사라진다.
Note 1
DI(의존성 주입)에는 setter 주입, 생성자 주입, 필드 주입 이렇게 3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 중에서 생성자 주입을 권장한다. setter 주입하면 public으로 되어 있어서 모든 개발자에게 열려있으므로 이곳저곳 쓰일 수가 있다(?). 필드 주입은 권장하지 않는다. setter 주입, 필드 주입할 때 final을 붙이면 안 된다. 자세한 건 다음 블로그 글을 참고하자. 잘 정리되어 있다.
[Spring] 다양한 의존성 주입 방법과 생성자 주입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 (2/2)
Spring 프레임워크의 핵심 기술 중 하나가 바로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이다. Spring 프레임워크와 같은 DI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면 다양한 의존성 주입을 이용하는 방법이 ..
mangkyu.tistory.com
Note 2
정형화되지 않거나, 상황에 따라 구현 클래스를 변경해야 하면 설정을 통해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중요)
참고
[Spring] @Configuration 개념과 장점
더보기 1. @Configuration 이란? : @Configuration이라고 하면 설정파일을 만들기 위한 애노테이션 or Bean을 등록하기 위한 애노테이션이다. 더보기 2. @Configuration을 사용하면 뭐가 좋은데? : @Configurat..
castleone.tistory.com
[SpringBoot] @Bean, @Configuration, @Component 어노테이션
기존의 Spring MVC에서는 xml을 활용하여 Bean을 등록하고 있었다. 하지만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사용하는 요소들을 xml에 등록하는 것이 상당히 번거로워 져서 어노테이션(Annotation, @)를 활
mangkyu.tistory.com
'Java & Kotlin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부트 공부 (9), 스프링 DB 접근 기술 (0) | 2022.03.12 |
---|---|
스프링 부트 공부 (8), 회원관리 예제 - 웹 MVC 개발 (0) | 2022.03.06 |
스프링 부트 공부 (6),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 1 (0) | 2022.02.22 |
[Spring] MVC와 ORM (0) | 2022.02.11 |
[Spring] VO와 DAO (0) | 2022.02.10 |